다가오는 연말정산 시즌. 연말정산 환급 2배로 받을 수 있는 산뜻한 정보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.
목차
1. 연말정산 미리보기로 확인하기
* 연말정산이란 무엇인가요?
- 소득공제 : 세금 부과의 대상이 되는 소득의 크기를 줄이는 것
- 세금 공제: 산출된 세액에서 세금 자체를 깍아 주는 것
- 한마디로 -> 소득공제 + 세액공제로 부담해야 할 세금 줄이기
* 연말정산 미리보기 이용방법
① [국세청 홈텍스 → 연말정산 → 연말정산 미리보기] 확인
② 국세청이 미리 수집한 1월부터 9월까지 신용카드 사용금액 확인
③ 항목별 공제액을 올해 예상액으로 수정하여 예상세액을 산출
④ 소득+세액공제 항목 확인 후 부족한 부분에 대한 절세 전략 짜기
2. 신용/체크카드 소득공제 받으세요!
* 신용카드 및 직불카드 소득공제 조건
- 연간 총소득의 25% 이상을 소비하면 초과분 소득공제가 적용
ex) 연소득이 7천만원인 경우, 최대 300만원까지 공제 가능!
- 총 사용금액이 아닌 결제수단별 공제율에 따라서 소득에서 공제된다.
* 신용카드 및 체크카드 소득공제 전략
① 연소득의 25%까지 신용카드로 지출(최저 공제율)
ex) 연소득이 3000만원인 경우,
신용카드 사용액 최대 750만원까지!
② 9월까지 사용한 금액이 연 소득의 25% 이상이면 연말까지 체크카드나 현금으로 소비한다.
(현금영수증 발급 필요)
3. 청약통장으로 특별소득공제 챙겨가기!
* 주택자금특별공제조건
- 1년간 청약저축 납입액의 40%까지 소득공제가 가능하며, 납입금액은 월 20만원까지 인정된다.
- 주택담보대출과 전세대출 원리금 상환액의 40% 소득공제 가능
* 청약통장 세액공제 전략
- 소득이 많지 않으면 월 20만원을 저축하지 않아도 특별소득공제 한도를 전부 챙길 필요는 없음
- 월 최대 납입 인정액 월 10만원 저축을 추천!
* 저축하지 않으셨다면 연말에 한꺼번에 납입회차를 채우는 것도 방법!
4. 월세 세액공제 신청하기!
* 월세세액공제조건
- 연소득 7,000만원 이하의 무주택 세대주,
월세의 10%를 연 750만원 한도로 공제받을 수 있음
- 기준시가 3억원 이하, 전용면적 85㎡ 이하 주택에 거주
* 월세 세액공제 신청 방법
- 임대차계약서 사본, 무통장입금 증명서, 주민등록등본 등의 서류가 필요,
전입신고를 해야 함!
- [홈텍스 → 상담/신고 → 현금영수증 민원신고 → 주택임차료]에 신청 가능하고, 월세 납부일로부터 3년 이내에 신고해야 합니다.
5. 학자금 대출 상환을 위한 세액공제 징수!
* 교육비 특별세액공제 조건
- 학자금 대출의 원리금을 상환할 때,
전체 상환액에 대한 15% 세액공제
- 대학 등록금 및 입학금 납부액
1인당 연간 최대 900만원까지 세액공제 가능!
- 장학금 감면액, 근로장학금, 생활비 대출 상환액 등은 공제 대상 X
* 학자금 대출 세액공제 방안
- 학자금 대출 원리금 상환은 본인의 소득이 있을 때,
본인이 상환한 금액만 세액공제 대상!
(만약 부모님이 갚는다면 X)
- 학자금 대출이 있으면 취업 후 분할 상환하는 것이 유리하다.
- 세액공제증명서(교육비지급증명서) 회사에 제출해야 함
6. 의료비, 가족 중 한 명 신용카드!
* 의료비 특별세액공제조건
- 본인 또는 부양가족을 위해 1년간 지출된 의료비는 총급여액의 3%를 초과하고,
초과금액에 대한 15% 세액공제
- 신용카드 소득공제와 중복공제가 가능한 항목
*의료비에 세액공제 전략
- 의료비 특별공제 대상 부양가족은 연령제한이 없음!
- 만약 본인이 가족과 함께 산다면, 의료비 지출할 때
소득이 가장 낮은 사람의 카드에 몰아주는 것이 세액공제를 늘리는 방법
- 미용비, 성형비, 한약 제조비 공제 X
7. 연금저축펀드 세액공제 징수!
* 연금저축펀드 세액공제 조건
- 연봉 5,500만원 이하의 근로자라면, 최대 400만원 한도 안에서
연금저축펀드 저축액의 16.5%를 세액공제
ex) 최대 한도(월 36만원) 납입 시, 66만원 환급가능!
* 연금저축펀드 세액공제 전략
- 퇴직연금 추가납입 시,
연금저축펀드 + 퇴직연금 = 연간 700만원 한도 안에서 세액공제 받을 수 있음
- 환급액이 큰 편이지만 여기 넣은 돈은 55세 이후까지 묶이게 되고 중도 해지시 환급액을 뱉어내야 하니 잘 계산해야 함!
'연말정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연말정산 장례비 가능여부 확인하기 (0) | 2022.11.16 |
---|---|
취업전, 퇴사 후 연말정산 방법 (0) | 2022.11.16 |
연말정산 주요일정 정리 (0) | 2022.11.16 |
연말정산 미리보기 환급금 조회 방법 (0) | 2022.11.16 |
연말정산 용어 총정리 (0) | 2022.11.14 |